XRP 시장에 강력한 호재가 등장했다. 뉴욕증권거래소 아르카(NYSE Arca)가 테우크리움(Teucrium)의 2배 레버리지 일간 XRP ETF 상장을 승인하면서, 기관 자금의 본격 유입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NYSE 아르카는 미국 증권거래법 1934조에 따라 ‘테우크리움 2X 롱 데일리 XRP ETF’ 상장을 승인했다. 이 상품은 리스티드 펀드 트러스트(Listed Funds Trust) 산하로, 투자자에게 XRP 가격 움직임에 대한 2배 수익을 추구하는 레버리지 전략을 제공한다. 테우크리움은 이미 2022년 비트코인(BTC) 선물 ETF를 SEC로부터 승인받은 전례가 있으며, 이번 XRP ETF 출시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코인게이프는 이번 승인이 암호화폐 기반 금융상품이 전통 금융시장에 더욱 깊숙이 통합되는 과정으로 평가했다. 특히 XRP의 경우, 최근 리플(Ripple)과 SEC 간 법적 공방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규제 리스크가 줄어든 점도 긍정적이다. 전문가들은 이 ETF가 고위험 상품에 대한 투자 심리가 다시 살아나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매체에 따르면,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은 SEC에 XRP 현물 ETF 승인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이는 비트코인과 솔라나(Solana)에 이은 세 번째 암호화폐 ETF 시도다. 한편 블랙록(BlackRock)의 XRP ETF 출시는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았지만,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가 “XRP ETF는 논리적 선택”이라 언급하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코인게이프는 XRP 파생상품 시장 또한 주목할 만하다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인스티튜셔널(Coinbase Institutional)은 XRP 선물 계약을 4월 21일 출시하기 위해 CFTC에 자체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다. 비트노미얼(Bitnomial) 역시 CFTC 승인을 받은 XRP 선물 상품을 이미 미국 시장에 출시한 바 있다. 이는 규제 명확성 확보와 함께 XRP의 제도권 편입 가속화를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레버리지 ETF와 선물 상품의 잇따른 등장이 XRP 유동성과 변동성을 단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고 분석하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제도권 투자자 유입이 XRP 가격 상승 모멘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