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정부가 향후 1~2년 안에 디파이(Defi, 탈중앙 금융)에 대한 규제를 추진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디파이 프로젝트 와이언파이낸스(YFI) 창업자 안드레 크로녜(Andre Cronje)는 트위터를 통해 "정부는 향후 1~2년 간 디파이에 대한 현행 규제를 추진할 것"이라 전망했다.
그는 "대출 플랫폼과 탈중앙화 거래소가 주된 타깃이 될 것이며 이용자들은 2~3년간 패닉상태에 빠질 것이다. 하지만 (당국은) 규제가 제대로 시행될 수 없음을 깨닫고 디파이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것"이라 내다봤다.
실제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게리 겐슬러는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디파이 기반 P2P 대출 등 암호화폐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면서 디파이에 대한 규제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디지털 자산 풀을 운용하는 플랫폼은 뮤추얼 펀드와 유사하며, 암호화폐 관련 특정 이자수익에 대해 홍보할 경우 SEC의 감독을 받을 수 있다"면서 "SEC 직원들에게 디파이를 비롯해 ICO, 거래소, 대출 플랫폼, 스테이블코인, 커스터디, ETF 등 펀드 관련 잠재적 정책 변경에 대한 조사를 지시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신세틱스 창업자 케인 워윅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디파이에 대한 규제는 피할 수 없다. 우리는 공평하고 개방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시장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는 규제기관 목표와 일치하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디파이의 모든 참여자들은 단일한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조정돼야 한다. 현재 디파이 설립자들 간 느슨한 성격의 연합체가 이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한 듯하다. 다만,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나온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디크립트는 컨센시스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2분기 이더리움 주소가 10% 늘어난 반면 디파이 프로토콜 주소는 65% 증가했다고 전했다. 7월 초까지 이더리움 주소 중 291만개가 유니스왑, 컴파운드, 키퍼다오와 같은 디파이 프로토콜과 연동됐다.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이 급증한 게 디파이 성장을 부추겼다"면서 "7월 초까지 650억달러 상당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됐으며 이중 USDC 4분의 1은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에 예치된 상태"라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디파이 프로토콜에 예치된 자금 규모는 6월 초 수준으로 떨어졌으나, 이번주 이더리움의 런던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디파이 성장 속도가 다시 빨라질 것"이라 전망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Digital Life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