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업비트, '프로젝트 투명성' 등 상장 심사 원칙 공개

김진범 | 기사입력 2018/10/11 [12:47]

업비트, '프로젝트 투명성' 등 상장 심사 원칙 공개

김진범 | 입력 : 2018/10/11 [12:47]

 국내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상장 심사 원칙을 11일 공개했다. 

 

▲ 출처: 업비트     © 코인리더스



 

이날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밝힌 상장 심사 원칙은 △프로젝트의 투명성 △원활한 거래 지원 가능성 △공정한 투자 참여 가능성 3개 분류 총 21개 점검 항목으로 구성됐다. 

 

투명성에서는 해당 프로젝트의 주요 정보, 법규 준수, 기술 역량, 암호화폐의 부가가치 창출 메커니즘 및 로드맵을 진단한다. 원활한 거래 지원 가능성 분류에서는 기술 호환성, 기술 문제 발생시 대응 역량 등을 검토한다. 공정한 투자 참여 가능성에서는 초기 분배의 공정성, 네트워크 운영의 투명성을 점검한다.

 

상장 전 스크리닝 단계에서는 시장조사, 잠재 후보군 실사, 상장 후보 선정과 위원회에 상정, 심의 위원회 의결 과정을 거친다. 상장 후에도 유동성이 낮은 프로젝트는 유의종목으로 지정해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유의 종목 지정에도 개선이 없으면 상장폐지된다.

 

이번 상장 심사 원칙 공개에 대해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업비트가 지난 1년여간 축적된 노하우를 체계화해서 공개하게 됐다"며 "상장 심사비(상장피)를 받지 않는다는 기본 정책을 포함해 프로젝트 선정 원칙, 이후 점검 원칙을 투명하게 공개해 투자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는 "이번 상장 심사 원칙 공개가 각 프로젝트 팀이 스스로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동시에, 투자자에게 좋은 프로젝트를 선별하는 판단 기준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