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IMF, 세계성장률 3.2%로 석달새 0.4%p 하향…"美, 이미 경기침체 시작"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7/26 [22:15]

IMF, 세계성장률 3.2%로 석달새 0.4%p 하향…"美, 이미 경기침체 시작"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2/07/26 [22:15]


국제통화기금(IMF)은 26일(현지시간) 낸 세계 경제 전망 수정보고서에서 올해 성장률을 4월(3.6%)보다 0.4%포인트 낮은 3.2%로 전망했다.

 

IMF의 세계 성장률 전망치는 1월(4.4%)에 비해서도 1.2%포인트 낮고 지난해 6.1%와 비교하면 거의 반토막으로 꺾였다.

 

특히 올해 2분기 성장률은 코로나19 충격이 컸던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권역별로 선진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2.5%, 1.4%로 3개월 전보다 각각 0.8%포인트, 1.0%포인트 하락했다.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은 3.6%, 3.9%로 선진국만큼은 아니지만 직전 전망보다 각각 0.2%포인트, 0.5%포인트 낮아졌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9%로 4월(3.6%)보다 0.7%포인트, 1월(3.8%)보다 0.9%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세계 물가는 작년 4.7% 오른 데 이어 올해는 8.3%로 상승 폭이 훨씬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물가는 5.7%로 다소 하향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직전 전망치보다 각각 0.9%포인트 높았다.

 

권역별로는 선진국 물가가 올해 6.6% 오르고 신흥국과 개도국이 9.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제유가는 지난해 67.3% 상승한 데 이어 올해 50.4% 오른 뒤 내년에는 12.3%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IMF는 이번 보고서에 팬데믹 이후 세계 경제의 양대 성장 엔진으로 꼽히던 미국과 중국의 전망치를 3개월 새 각각 1%포인트 넘게 떨어뜨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더했다.

 

최대 경제대국인 미국의 올해 성장률은 2.3%로 예상됐다. 낮은 성장률, 가계 구매력 감소, 통화 긴축정책 등으로 인해 4월 전망치보다 1.4%포인트나 하락했다. 내년 성장률도 1.3%포인트 떨어진 1.0%포인트로 전망됐다.

 

2위 경제대국 중국은 코로나19에 따른 봉쇄, 부동산 위기 심화 등으로 올해 성장률이 석달새 1.1%포인트 낮은 3.3%로 3%대 성장이 예상됐다. 이는 40여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IMF는 설명했다. 내년은 0.5%포인트 떨어진 4.6%로 전망됐다.

 

유로존은 2.6%로 4월 전망치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피에르-올리비에르 고린차스 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과 미국, 유로존 등 3대 경제권의 경제 상황이 이번 전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면서 인플레이션도 주요한 우려사항이라고 설명했다.

 

IMF는 주요7개국(G7)에서 시작되는 경기침체 가능성이 거의 15%로 평소보다 4배 높고 미국은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정의로 보면 이미 경기침체가 시작됐을 수 있다고 봤다.

 

IMF는 중국과 러시아의 경기하강에 따른 2분기 총생산 감소, 기대치 이하의 소비자 지출, 예상보다 높은 물가상승, 긴축 금융 정책, 예상보다 심각한 중국의 둔화, 우크라이나 전쟁의 부정적 효과 등 위험 요인이 현실화한 것을 요인으로 꼽았다.

 

아울러 경제 전망이 하방 위험에 압도적으로 기울어져 있다면서 위험 요인이 현실화하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각 2.6%, 2.0%로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처럼 낮은 성장률은 1970년 이래 5번밖에 없었다는 게 IMF의 설명이다.

 

하방 위험이 현실화하면 미국과 유로존의 내년 성장률은 거의 0%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인플레이션 대응이 최우선 정책이 돼야 한다면서 통화 긴축으로 비용이 들지만 물가 대응이 더디다면 상황이 더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재정정책은 가장 취약한 계층의 충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면서 에너지와 곡물 가격 상승의 충격에 대응하는 정책은 가격을 왜곡하지 않은 선에서 가장 타격을 받은 계층에 초점을 맞추라고 권고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