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상하이·베이징 등에 대한 전면·부분 봉쇄, 부동산시장 위기로 2분기 성장률이 우한 사태 이후 최저인 0.4%까지 떨어진 가운데 중국 당국이 이를 만회하기 위해 경기 부양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그러나 3분기 들어서도 쓰촨성의 가뭄·폭염으로 인한 전력난,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따른 쓰촨성 청두와 4대 도시인 선전 등의 전면·부분 봉쇄 등 새 변수가 다시 불거지면서 경제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다.
그런데도 3분기에 경기 부양이 이뤄져야 지난 3월 중국 당국이 정한 5.5% 경제성장률 목표에 최대한 근접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6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과 블룸버그에 따르면 전날 열린 국무원 정책 설명회에서 이 같은 인식이 그대로 드러났다.
양인카이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비서장은 3분기를 경기 부양책의 핵심으로 본다면서 정부의 지원 정책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효 수요 확대, 투자·소비 촉진, 고용 증대는 물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식량 생산 안정에 정책의 초점이 맞춰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정책 금융기관들이 인프라 투자 촉진 자금 조달 프로그램을 통해 3천억위안(약 59조원)을 이미 분배했고, 지방 정부들도 5천억위안(약 99조원)의 건설 프로젝트용 특별채권을 팔아 적지 않은 유동성을 확보했다고 소개했다.
류궈창 인민은행 부총재는 최근 달러 강세에 따른 위안화 약세 현상을 언급하면서도, 중국 경제의 회복력과 위안화 환율의 유연성을 높여 미국 통화 정책의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류 부총재는 "우리는 안정적인 성장과 고용, 인플레이션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미국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억제하려고 금리 인상을 지속해왔지만, 중국은 경기 부양에 무게를 두고 금리 인하 행보를 해왔다.
이런 가운데 위안화 가치 급락으로 달러 보유 부담이 커진 상황을 고려해 인민은행은 다음달 15일부터 중국 금융기관의 외화 지급준비율을 8%에서 6%로 2%포인트 하향 조정한다고 5일 발표했다.
다음달 16일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을 확정할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가 개막될 예정인 가운데 중국 당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 지속과 경제 동력 회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 잡기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달 16일 중국의 수출 엔진인 광둥성을 찾아 경제 동력을 회복해야 한다고 촉구한 리커창 총리는 근래 "올해 중국 정부의 경제 지원 규모가 2020년 위기 때 수준을 넘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는 지난 5월 33개 패키지에 이어 지난달 25일에도 19개 패키지의 경제 지원 방안을 발표했는데, 이 규모가 2020년 때보다 많다는 것이다.
중국 당국은 고속철도와 수로, 에너지 분야 등 인프라 투자를 중심으로 한 경기 부양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