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밈코인은 끝났다? 업계 전문가 "더 이상 공정한 게임 아냐"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5/02/20 [13:51]

밈코인은 끝났다? 업계 전문가 "더 이상 공정한 게임 아냐"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5/02/20 [13:51]
챗GPT 생성 이미지

▲ 챗GPT 생성 이미지


2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Castle Island Ventures의 파트너 닉 카터(Nic Carter)는 LIBRA 사태를 계기로 밈코인 시장이 본질적인 문제를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그는 밈코인이 공정한 시장이라고 믿어왔던 개인 투자자들이 사실상 조작된 구조 속에서 손실을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터는 밈코인이 원래부터 투기성이 강한 자산이었지만, 적어도 개인 투자자들이 공정한 환경에서 참여할 수 있는 구조였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최근 LIBRA 토큰을 비롯해 미국 전·현직 정치인,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관련된 프로젝트들이 대량의 내부자 거래와 불공정한 배분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면서 시장 신뢰도가 크게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업계 일부에서는 밈코인의 유용성을 강조하며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프로젝트 백팩(Backpack)의 창립자 아르마니 페란테(Armani Ferrante)는 밈코인이 실험적인 금융 시스템의 강력한 테스트베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밈코인은 단순한 투기 상품이 아니라, 블록체인 기반 금융 시스템이 실제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코인베이스(Coinbase)의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도 밈코인 시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밈코인은 초기 인터넷의 애니메이션 GIF와 같은 존재다"라며, 비록 현재는 불완전한 요소가 많지만 미래에는 블록체인 금융 혁신을 주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점점 냉각되고 있다. Solana(솔라나) 기반 밈코인 배포 플랫폼인 Pump.fun에서 신규 토큰 발행 수는 지난달 대비 59% 감소했다. 1월 23일 기준 71,735개의 신규 토큰이 생성됐지만, 2월 19일에는 28,898개로 줄어들었다. 이는 밈코인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밈코인 시장이 단순한 투기에서 벗어나 금융 혁신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아니면 LIBRA 사태 이후 더욱 심각한 위기를 맞이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마이클 세일러, 부켈레 대통령과 회동…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확대 논의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