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법안이 통과될 경우, 주정부는 총 자금의 최대 10%를 시가총액 7500억 달러 이상인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암호화폐는 현재 비트코인이 유일하다.
켄터키 외에도 미주리주와 아이오와주가 지난 6일(현지시간) 유사한 법안을 발의했다. 또한, 유타주에서 추진 중인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HB230)은 최근 하원을 통과하고 상원으로 넘어가며 가장 빠른 진행 속도를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미국에서 비트코인 준비금(SBR) 법안이 실제로 시행된 사례는 없다. 앞서 노스다코타주와 와이오밍주에서도 유사한 법안이 발의됐지만, 각각 하원과 위원회 표결에서 부결된 바 있다.
한편, 미국 연방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이 올해 도입될 확률은 현재 예측 시장인 폴리마켓(Polymarket)에서 45%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최근 주정부 차원의 법안 발의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연방 차원의 법제화 가능성은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켄터키의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이 통과될 경우, 주정부 차원의 암호화폐 투자가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