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美 4월 일자리 43만개↑·시간당 임금 5.5%↑...뉴욕증시, 하락 출발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5/06 [23:30]

美 4월 일자리 43만개↑·시간당 임금 5.5%↑...뉴욕증시, 하락 출발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2/05/06 [23:30]

미국의 일자리가 예상보다 많이 늘어났으나, 노동자 임금은 시장 전망보다 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 노동부는 6일(현지시간) 공개한 4월 고용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가 42만8천 개 증가했다고 밝혔다.

 

4월 일자리 증가폭은 전월과 똑같은 수준으로,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38만 개를 크게 상회했다.

 

업종별로는 레저·접객업(7만8천 개), 제조업(5만5천 개), 물류·창고업(5만2천 개)에서 일자리가 많이 늘어났다.

 

실업률은 3.6%로 전월과 같았으나 시장 전망치(3.5%)보다는 살짝 높았다.

 

시간당 임금은 전월보다 0.3%, 전년 동월보다 5.5%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증가폭은 전문가 전망치(0.4%)를 살짝 하회한 결과여서 가파른 임금 상승세가 진정되기 시작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고용 회복의 척도로 주목하는 경제활동참가율은 전월보다 0.2%포인트 떨어진 62.2%로 최근 3개월 중 가장 낮았다.

 

어린이 보육과 노인 부양을 포함한 여러 요소가 경제활동참가율의 회복을 저해하는 것으로 블룸버그통신은 분석했다.

 

다만 인플레이션으로 생필품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노동시장으로 복귀하는 미국인 수가 앞으로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통신은 전망했다.

 

또한 예상보다 일자리 증가폭이 컸다는 기업 대상 조사 결과와는 달리 가계 대상 조사에서는 오히려 4월 일자리가 35만3천 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CNBC방송은 지적했다.

 

미 노동부는 기업 조사와 가계 조사를 각각 실시해 고용보고서를 작성하는데, 비농업 일자리 통계는 통상 기업 조사 결과를 더 신빙성 있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2년 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 사라진 2천200만 개의 일자리 중 90% 이상이 이미 회복된 상태다.

 

그러나 연준이 최근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5%포인트 인상한 것은 물론 앞으로 몇 차례 더 이와 같은 '빅스텝'을 밟겠다는 뜻을 시사함에 따라 고용 회복세도 느려질 가능성이 커졌다.

 

얀 하치우스 골드만삭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몇 달 안에 월별 일자리 증가폭이 20만 개 정도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뉴욕증시는 4월 고용이 예상치를 웃도는 증가세를 보였다는 소식에 장기 국채금리가 오름세를 지속하자 하락했다.

 

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9시 5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7.75포인트(1.42%) 하락한 32,530.22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3.17포인트(1.76%) 떨어진 4,073.70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10.01포인트(2.52%) 밀린 12,007.68을 나타냈다.

 

국채금리는 오름세를 보였다. 10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8bp(=0.08%포인트) 오른 3.12%를 기록해 2018년 이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시장이 연준이 계속 공격적인 긴축 기조를 이어갈 것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