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 지수는 지난해 2월 최고점을 찍은 이후 최근 594일 동안 약세장을 지속, 2001년 9월 끝난 이전 기록 589일을 넘어섰다.
통상 주가지수가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으로 분류한다.
MSCI 신흥국 지수는 지난해 최고점보다 약 39% 떨어진 상태다. 이 지수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에는 전고점 대비 하락폭이 66%에 이른 바 있다.
앞으로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주저 없이 강달러 기조를 유지해 신흥국 시장에서 자본 유출이 계속 일어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신흥국 증시의 약세장은 당분간 더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고 블룸버그는 관측했다.
여기에 더해 MSCI 신흥국 지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기업들의 전망이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 미국 등 서구 각국과의 갈등으로 인해 어두운 것도 신흥국 증시에 불확실성으로 작용한다.
시장분석기업 TS롬바드에 따르면 지난달 신흥국 증시에 투자하는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에서 순유출된 자금 규모가 코로나19 대확산 시작 이후 가장 컸다.
존 해리슨 TS 롬바드 신흥국 거시전략 담당 상무이사는 "신흥국 증시는 달러 평가절상과 미국 주식시장 약세로 인해 계속해서 압력을 받을 것"이라며 "대외 상황이 악화하면 신흥국 자본 유출은 가속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