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현지시간) BBC 러시아는 암호화폐 거래소 BTC-e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고객 손실 자산 일부가 FSB로 흘러 들어갔다고 추정할 수 있는 정보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WEX 전신인 BTC-e는 지난 2011년 7월에 설립된 러시아 암호화폐 거래소로 지난 6년 간 40억달러 상당의 자금을 세탁한 혐의로 폐쇄됐다. BTC-e의 실질 소유주인 알렉산더 비닉(Alexander Vinnik)은 사기 및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된 상태다.
언론이 확보한 오디오 파일에 따르면 FSB 요원 출신 안톤 넴킨(Anton Nemkin)으로 추정되는 사람과 BTC-e 공동 설립자 알렉세이 빌류첸코(Aleksey Bilyuchenko), WEX 매각 배후로 알려진 콘슨탄틴 말로페예프(Konstantin Malofeyev)가 접촉했다.
이후 알렉세이 빌류첸코는 WEX 운영 관련 조사를 받았다. 이에 FSB 요원은 거래소 암호화폐 자산이 담긴 콜드 월렛을 넘길 것을 요구하며 해당 자금이 정보기관에 들어갈 것이라 설명했다.
해당 월렛에는 거래소 고객 자산의 일부인 4억5000만달러 상당 암호화폐가 보관된 상태였다. 그 중 비트코인 3만개와 라이트코인 70만개가 이동한 것을 Blockchain.com과 Explorer.Litecoin.net이 확인했다.
이에 미국 검찰도 BTC-e와 비닉를 기소했다. 그 결과 미국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단속 네트워크(FinCEN)은 지난해 거래소와 공동 설립자에 대한 민사상 처벌을 확정시켜 각각 8800만달러와 1200만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기소장에 따르면 BTC-e와 공동설립자는 FinCEN에 등록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자금세탁방지 규정 및 의심 활동 신고를 이행하지 않았다.
한편, FinCEN 수장이 모든 암호화폐 기업은 자금세탁방지(AML) 규정 준수와 함께 정부에 고객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15일(현지시간) 글로벌 통신사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FinCEN 국장 케네스 블랑코(Kenneth Blanco)는 뉴욕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인널리시스(Chainalysis)가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암호화폐 산업에도 '트래블 룰'이 적용되며, 미국 정부가 암호화폐 업계에 규정 이행을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CVC(convertible virtual currencies·전환가능한 가상화폐)에도 트래블 룰이 부과된다. 암호화폐 산업이 이를 준수하길 기대한다. 더 이상 설명할 것이 없다. 정부는 규정 이행을 바란다"고 덧붙였다.
트래블 룰은 암호화폐를 송금할 때 송금기관과 수취기관 모두 관련 정보를 수집·보유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도 지난 6월 최종 규제 권고안을 통해 전세계 규제기관과 가상자산서비스제공업체(VASP)가 거래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블랑코 국장은 "트래블 룰이 은행 산업도 부담하는 기준으로 새롭게 추가된 규정이 아니다"라며 "지난 2014년부터 기관은 수사를 진행해왔으며 암호화폐 금융서비스업체들은 트래블 룰 이행을 가장 많이 위반한다"고 지적했다.
블랑코 국장은 지난달 조지타운 대학 연설에서도 "자금세탁방지법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규정으로 예외가 없다"며 "해당 규정의 핵심 목표는 거래 관련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라 발언한 바 있다.
국장은 "거래 관련자 정보를 알고 싶은 이유는 거래 상대가 마약, 인신매매와 같은 불법 행위와 관련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거래 상대자가 누구인지 모른다는 것은 큰 문제가 된다. 규정은 거래 상대자 정보를 확인할 것을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해당 정보를 수집하기가 어렵지 않다면서 단지 이름, 주소, 계좌번호, 거래, 수취인, 금액 정보를 요구하는 것 뿐이라 밝혔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