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美연준의 '매파적 금리 동결'에 나스닥 1.5% 급락..채권금리·달러화 상승, 비트코인 약세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3/09/21 [08:00]

美연준의 '매파적 금리 동결'에 나스닥 1.5% 급락..채권금리·달러화 상승, 비트코인 약세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3/09/21 [08:00]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통화정책 회의 후 회견 내용이 매파(통화긴축 선호)적으로 해석되면서 20일(현지시간) 미 증시가 기술주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6.85포인트(0.22) 내린 34,440.8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1.75포인트(0.94%) 하락한 4,402.2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09.06포인트(1.53%) 내린 13,469.13에 각각 장을 끝냈다.

 

이날 오후 연준이 기준금리를 예상대로 5.25∼5.50%로 동결하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상향 조정해 발표했을 때만 해도 시장 반응은 잠잠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적절하다고 판단할 경우 우리는 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라며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금리 변화에 민감한 기술주를 중심으로 주가가 하락 전환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지속해 2% 수준까지 낮추기까지 가야 할 길이 멀다"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 연설이 유럽 및 아시아 시장 마감 후 열린 가운데 해외 증시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채권시장은 파월 의장 발언에 금리 상승으로 반응했지만 그 폭은 크지 않았다.

 

이날 미 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 금리는 이날 미 증시 마감 무렵 4.389%로 하루 전 대비 2.4bp(1bp=0.01%포인트) 올랐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화 인덱스는 이날 미 증시 마감 무렵 하루 전보다 0.25% 오른 105.4를 나타냈다.

 

한편 국제유가는 상당 폭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 인도분 WTI 선물 가격 종가는 배럴당 90.28달러로 전날 종가 대비 92센트(1.01%) 하락했다.

 

이날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도 전 거래일 종가 대비 81센트(0.86) 내린 배럴당 93.53달러로 마감했다.

 

월가 일각에서는 이번 파월 의장 회견 내용을 두고 시장의 혼선을 키운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그룹 고문은 이날 회견 내용이 혼란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며 "일부는 긴축 정책 마무리 단계에서 오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여기겠지만, 일부는 도전받는 연준 커뮤니케이션의 또 다른 사례라고 여길 것"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TC)은  연준 회의로 인한 단기적인 불안감을 나타내며 27,000달러선 붕괴에 직면하고 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 자료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한국시간 9월 21일 오전 7시 58분 현재 기준으로 24시간 전 대비 0.39% 하락한 27,09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시총 2위 코인 이더리움(ETH)은 1.22% 내린 1,622달러에 거래 중이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도 0.43% 감소하며 현재 약 1조 700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