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실물 신분증 없이 모바일 신분증으로 유무선 통신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게 됐다.
20일 KT는 패스(PASS) 앱의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KT 통신 서비스 업무 처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개편했다고 밝혔다.
패스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는 통신사 본인인증 앱인 패스에 본인 명의의 운전면허증을 등록해 실물 신분증 대신 신분증명 및 운전자격 확인에 이용하는 서비스다. 지난해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된 디지털 공인 신분증이다.
KT 가입자는 실물 신분증이 없어도 KT 패스 모바일 운전면허를 제시해 휴대전화 기기변경과 유무선 서비스 가입·변경 및 해지 등 통신 관련 업무를 볼 수 있다.
패스 모바일 운전면허는 QR코드와 바코드가 노출되는 화면에 캡처 방지 기술을 적용해 보안성과 편의성을 강화한다. QR코드는 30초 유효시간이 지나면 초기화돼 부정 사용을 막는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했다.
이성환 KT 5G/기가 사업본부장은 "KT는 신분증 없이 패스 모바일운전면허만 있으면 통신 서비스를 가입하고 해지할 수 있도록 해 고객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라며 "앞으로도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고민하고 선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