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13일 국내 가상자산 시장 문호를 법인에 개방하는 로드맵을 제시하자 업계가 반색하는 분위기다.
향후 기관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코인 거래에 나설 경우 경쟁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시장이 안정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이하 닥사)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법인의 가상자산 시장 참여를 적극적으로 환영한다"고 밝혔다.
닥사는 "민관 노력으로 가상자산 시장의 불명확한 규제를 해소하는 첫 걸음"이라며 "투자자 보호, 시장 안정성,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라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자금세탁 방지 체계를 사업자들과 함께 보완하고 이용자 보호에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그동안 국내 시장이 풀뿌리 형태로 잘 성장하긴 했지만, 법인 진입이 차단돼 시장이 왜곡되고 부작용이 발생하는 측면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 기관 투자가 점진적으로 허용되면 국내 시장도 한층 발전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법인 계좌가 열리면 대규모 자금이 들어오고 코인시장이 주식시장처럼 안정화될 것"이라며 "거래소와 은행이 정부 로드맵에 따라 차근차근 준비할 것"이라고 했다.
중장기적으로 시장 점유율에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국내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 점유율이 70~80%에 달하고 2위 빗썸까지 합하면 97~98%를 웃도는 쏠림 현상이 다소 해소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반대로 법인 자금이 업비트 등으로 집중돼 오히려 독과점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엇갈린다.
빗썸이 다음 달부터 원화 입출금 제휴 은행을 국민은행으로 변경하는 것이나 업비트가 제휴 은행을 하나은행으로 바꾸려 물밑 준비 중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오는 것도 치열한 경쟁에 대비하는 '전초전' 성격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거래소뿐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 회사 등 가상자산과 관련된 업계 전반에 활기가 돌면서 생태계가 자리 잡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와 관련,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독과점 문제를 상당히 인지하고 있는 상태"라며 "법인 계좌 허용할 때도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2단계 법안 입법 때 독과점을 해소하는 방법이나 독과점을 이용한 행위 규제 등의 내용도 상당히 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로드맵 발표 효과가 바로 나타나기 어렵다는 회의론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정부는 올해 2분기 대학교 학교 법인 등에만 가상자산 매도 거래를 허용하기로 했다. 하반기에도 상장사와 전문 투자 법인에 시장을 개방하되 금융회사는 제외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 거래소 관계자는 "당장 공공기관이나 대학교 등의 참여만으로는 시장 판도가 바뀌기 어렵다"며 "기업이나 증권사 등이 대거 참여해야 비즈니스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당국이 시장 활성화 의지가 있다면 현물 ETF(상장지수펀드)부터 승인했어야 한다"며 "비영리 법인 참여의 시장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