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연준 '주택구매 만류' 경고대로…美 주담대 금리 13년만에 최고치

모기지 금리 한 주만에 0.55% 급등…1년전에 비해 매달 비용 96만원↑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6/17 [07:30]

연준 '주택구매 만류' 경고대로…美 주담대 금리 13년만에 최고치

모기지 금리 한 주만에 0.55% 급등…1년전에 비해 매달 비용 96만원↑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2/06/17 [07:30]

▲ 미국의 부동산 광고


미국의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2008년 11월 이후 최고치로 뛰어올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주택담보대출업체인 프레디 맥을 인용해 미국 30년 만기 모기지 고정금리가 5.78%를 기록해 1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주 모기지 평균 금리(5.23%)에서 한 주 만에 55bp(0.55%, 1bp=0.01%포인트)나 급등한 수치다.

 

WSJ은 이 같은 주간 상승폭은 1987년 이후 최대라고 전했다.

 

모기지 금리는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의 움직임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번 주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채 금리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연준이 물가 상승에 대처하기 위해 지난 5월 '빅스텝'(0.5%포인트 금리인상)에 이어 6월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인상)에 나선 것이 미국 국채 및 모기지 금리 급등의 배경이라는 것이다.

 

또한 양적 긴축에 나선 연준이 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을 줄인 것도 모기지 금리를 끌어올린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WSJ은 올해 5월에 미국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한 미국인은 모기지 평균 금리가 3% 수준이었던 지난해 5월과 비교해 매달 모기지 비용을 740달러(약 96만 원) 더 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모기지 금리 급등은 미국 주택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모기지은행협회(MBA) 소속 수석이코노미스트 마이크 프래탄토니는 "주택 수요가 상당히 가파르게 줄었다"며 "연준이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주택 구입을 고려하는 미국인들을 향해 "수요와 공급이 재조정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나을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