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인포그래픽 뉴스/코인마켓캡] 숫자로 보는 오늘의 비트·알트코인 시세(11월25일)

코리 | 기사입력 2020/11/25 [11:21]

[인포그래픽 뉴스/코인마켓캡] 숫자로 보는 오늘의 비트·알트코인 시세(11월25일)

코리 | 입력 : 2020/11/25 [11:21]

 

25일(한국시간) 오전 11시 25분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3.46% 상승한 19,007달러선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은 2.59% 하락한 600달러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리플은 4.71% 상승한 0.63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업비트 거래소에서는 전일 대비 0.27% 하락한 20,902,000원에 거래중이며, 빗썸에서는 1.66% 하락한 20,863,000원에 거래중이다.

 

비트코인(Bitcoin, BTC)은 3년 만에 19,000달러선을 돌파했다. 비트코인은 지난 1월 이후 희소성에 더해 강력한 제도적 수요에 힘입어 160% 넘게 급등했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의 애널리스트 레이 살몬드(RAY SALMOND)는 리딩 암호화폐 비트코인이 지속적인 랠리를 보이는 이유는 고래(큰손)의 지속적인 매집, 거래소의 공급 감소, 거래량의 폭발적 증가세 영향으로 진단했다. 

 

비트코인 가격 전망과 관련해 헤지펀드 오프더체인캐피털(Off The Chain Capital)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브라이언 에스테스(Brian Estes)는 "1년 만에 비트코인이 10배, 20배, 30배 오르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따라서 5배까지 오르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니다"면서, 금과 같은 상품의 희소성을 측정하는 S2F(stock-to-flow, 스톡투플로우) 모델을 근거로 2021년 말까지 비트코인 가격은 10만 달러에서 28만 8천 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앞서 지난 주 미국 시티은행 기술 분석가 톰 피츠패트릭(Tom Fitzpatrick)은 비트코인의 공급 제한, 국경 간 이동 용이성, 불투명한 소유권 등을 이유로 내년 말까지 최고 31만 8천 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블룸버그 시니어 상품 전략가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도 최근 인터뷰를 통해 “단기적으로 비트코인의 저항선이 2만 달러를 향해가고 있다”며 “향후 2년 안에 비트코인 가격이 17만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몇 개월 전 온스당 2,000달러까지 치솟았던 금값이 그 이후에도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에도 동일한 현상이 반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투자기관 골드만삭스 출신의 암호화폐(가상자산) 거물 투자자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 갤럭시디지털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도는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65,000달러까지 랠리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다수의 신규 구매자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한정된 비트코인 공급으로는 수요를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 스타트업 크립토퀀트의 주기영 대표는 "비트코인 고래 주소에서 코인베이스로의 비트코인 이동이 증가하고 있다"며 "비트코인 단기 조정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간밤 뉴욕증시는 순조로운 미국 정권 이양에 대한 기대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낙관론에 상승 마감했다.

 

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54% 오른 30,046.24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62% 오른 3,635.4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31% 상승한 12,036.79에 거래를 마쳤다. 미 증시 블록체인 테마는 0.54% 하락했다.

 

반면 대표적인 안전 자산인 국제 금값은 연일 급락세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1.8% 떨어진 1,804.6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백신 개발 등의 긍정적인 뉴스에 투자자들이 금을 팔고 위험자산으로 많이 갈아탄 여파로 보인다.

 

 

※ 오늘의 가격상승폭 TOP 10

스트라티스(KRW-STRAX, +34.07%) 스텔라루멘(KRW-XLM, +26.32%) 시아코인(KRW-SC, +24.5%)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KRW-SNT, +19.78%) 넴(KRW-XEM, +16.57%) 리퍼리움(KRW-RFR, +16.16%) 파워렛저(KRW-POWR, +15.79%) 아인스타이늄(KRW-EMC2, +15.32%) 펀디엑스(KRW-NPXS, +15%) 쎄타퓨엘(KRW-TFUEL, +14.71%)

 

 

※ 오늘의 거래금액 TOP 10

리플(KRW-XRP, 1,346,811,887,172원) 비트코인(KRW-BTC, 314,088,558,452원) 스텔라루멘(KRW-XLM, 266,452,521,620원) 에이다(KRW-ADA, 154,542,370,645원) 이더리움(KRW-ETH, 135,871,717,944원) 비트코인캐시(KRW-BCH, 118,553,768,182원) 이오스(KRW-EOS, 87,951,249,320원) 트론(KRW-TRX, 58,579,890,878원) 비트코인에스브이(KRW-BSV, 45,999,911,166원)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KRW-SNT, 35,151,061,162원)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IXO 2025] 안유화 원장 "스테이블코인과 비트코인, 미국 국채 대안으로 부상"
이전
1/5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