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인플레이션 통제를 위한 과감한 선택?..."美 기준금리 0.5p 인상 필요해"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3/23 [22:07]

인플레이션 통제를 위한 과감한 선택?..."美 기준금리 0.5p 인상 필요해"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2/03/23 [22:07]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 내에서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려면 기준금리를 0.5%p 인상, 이른바 '빅스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의 제임스 불러드 총재는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올 연말 기준금리를 3%까지 올려야 한다.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연준이 공격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면서 금리 인상에 있어 "더 빠른 것이 더 낫다"고 주장했다.

 

불러드 총재는 지난 FOMC 회의에서 0.25%p 금리 인상에 반대하며 0.5%p 인상을 주장한 바 있다.

 

클리블랜드 연은의 로레타 메스터 총재도 이날 연설을 통해 "공급망 혼란이 물가를 끌어올리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인플레이션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면서 "올해 일부 회의에서 큰 폭의 금리 인상이 필요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메스터 총재는 "필요한 금리 인상의 상당 부분을 뒤로 미루지 말고 서둘러 올릴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야만 경제가 예상과 다른 모습을 보일 때 대응하기 쉽기 때문"이라면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올해 연말 기준금리가 2.5% 수준이 돼야 하며 내년에도 금리를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기준금리 상단은 0.50%이고 연내 FOMC 정례회의는 6차례 남아 있다. 따라서 이들이 연말 기준금리 목표치로 제시한 2.5%, 3.0%를 달성하려면 2∼4차례의 0.5%포인트 인상이 필요한 셈이다.

 

그동안 신중한 입장을 보여온 샌프란시스코 연은의 메리 데일리 총재도 통화 완화책을 제거해야 할 때라면서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을 막으려면 중립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콘퍼런스에서 연준이 너무 높아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신속히" 움직여야 한다면서 필요할 경우 한 번이나 여러 회의에서 0.5%포인트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파월 의장은 "중립이라는 일반적인 조치를 넘어서, 그리고 더 제약적인(restrictive) 수준까지 긴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면 우리는 또한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해 중립 금리 수준 이상으로도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열어뒀다.

 

금리 선물시장도 5월과 6월 회의에서 0.5%포인트 금리 인상이 이뤄질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 이사들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이 이어지면서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에 반영된 5월과 6월 0.5%포인트 인상 전망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기준금리는 올 연말 2.25%에, 내년 9월에 2.75%에서 3% 정도에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랠프 액셀은 5월 FOMC 회의에서 0.5%포인트 금리 인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73%까지 올랐으며 6월 0.5%포인트 인상 가능성도 63%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골드만삭스도 연준이 5월과 6월에 0.5%p 금리를 인상하고 올해 안에 4차례 더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