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13일 암호화폐 저녁시황)비트코인 단기 목표 6450$, 리플·넴·제트캐시 강세…바이낸스 CEO "곧 강세장 올 것"13일(한국시간) 저녁 암호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BTC)은 지난 24시간 동안 6,400달러에서 6,300달러대로 떨어졌다. 다만 비트코인 거래량은 44억 달러를 상회하고 있는데, 이는 11월 거래량 평균치인 30억 달러에 비해 46% 증가한 수치다. 이같은 거래량을 바탕으로 비트코인은 6,000달러 중반 영역에서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다만 비트코인은 지난 11월 8일부터 6,500달러의 낮은 지역에서 추진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지난 2주 동안 비트코인은 높은 매도 압력으로 여러 차례 6,300달러 미만의 지지선에서 거래되기도 했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CCN은 "단기적으로 비트코인이 6,450달러 이상으로 신속하게 반등하지 않는 한 6,200달러 영역으로 밀릴 가능성이 높다"며 "시가총액 2,110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시장의 안정성을 감안하면 향후 24시간에서 48시간 이내에 6,450달러를 돌파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암호화폐 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아 시가총액 상위 암호화폐는 약세장을 지속하고 있고, 시총이 낮은 암호화폐 조차도 비트코인과 디커플링(decoupling)이 되지 않아 비트코인 약세장에도 큰 이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CCN은 "비트코인이 6,300달러 이하로 하락해 6,100~6,200달러 범위까지 밀리거나, 특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증권(security)으로 간주하는 ICO프로젝트에 대해 적극적으로 단속할 경우 토큰들은 단기 하락세를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여전히 암호화폐 시장의 단기 전망은 긍정적이라는 업계 유력인사들의 발언이 시장에 위안을 주고 있다. 일례로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크립토티커(Cryptoticker)에 따르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CEO 자오창펑(赵长鹏)은 최근 CNBC 아프리카의 크립토 트레이더(Crypto trader)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어떤 요인이 다음 강세장을 유도할지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지만, 공식적인 규제 하에 출시된 스테이블코인 혹은 기관 상품 출시와 같은 대형 기관들의 관심이 다음 강세장을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또한 그는 "암호화폐 시장의 강세장은 곧 도래하게 될 것"이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날 비트코인의 부진한 가격 흐름에도 불구하고 시총 3위 리플(XRP)과 15위 넴(NEM, XEM), 그리고 19위 제트캐시(지캐시, ZEC)는 강세를 보였다.
리플(Ripple, XRP)의 강세는 명확한 징후는 없지만 리플(Ripple)사와 리플(XRP)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발전으로 인해 호재가 계속해서 쏟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리플은 나스닥 첫 상장 코인이 될 것이라는 뉴스와 내년 말 카드 결제 시장 규모가 가장 큰 중국 시장 진출을 선언한 아메리칸익스프레스(AmEx)와 파트너십 체결, 리플 파트너인 국제 결제 플랫품 트랜스퍼고(TransferGo)가 리플의 XRP 기반 엑스레피드(xRapid)를 테스트 중이라는 소식에 더해 일본에 본사를 둔 세계 5위 은행 MUFG(미쓰비시UFJ파이낸셜 그룹)의 자회사와 국가 간 지불결제를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대형 호재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이에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이더리움월드뉴스는 "리플에 대한 지속적인 랠리를 원하는 거래자들의 유입으로 현재 기술 차트상 강력한 매수 모멘텀(buying momentum)을 보여주고 있다 "며 "단, 새로운 높은 최고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리플은 0.55달러 저항 수준을 안정적으로 넘어서야 한다"고 분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현재 글로벌 리플(XRP) 가격은 0.517달러 수준이다.
지난 몇 달 동안 비트코인과 미국 달러에 대해 저조한 성과를 거둔 세계 15위의 암호화폐인 넴도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체크(Coincheck) 서비스 재개 후 25% 이상 급등했다. 전날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체크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넴(XEM) 거래 재개를 발표했다. 코인체크는 "외부 전문가들과 협력해 이더리움(ETH), 넴(XEM), 리스크(LSK)의 기술적 보안성을 확보, 해당 암호화폐들의 입금 및 거래 서비스를 재개했다"고 공지했다. 이 거래소는 올해 초 해킹으로 인해 5억 달러 상당의 넴 토큰을 손실 당했다.
이밖에 프라이버시 중심의 암호화폐인 제트캐시(ZEC)는 미국 거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Coinbase) 상장 기대감에 5% 넘게 올랐다. 앞서 지난 7월 코인베이스는 베이직어텐션토큰(BAT), 제로엑스(0x, ZRX), 스텔라 루멘(Stellar Lumens, XLM), 카르다노(Cardano, ADA), 제트캐시(지캐시, Zcash, ZEC) 등 5개 코인의 상장여부를 검토하겠다고 예고한 이후, 블록체인 브라우저 브레이브(Brave) 내의 디지털 광고에 사용되는 ERC-20 토큰인 베이직어텐션토큰과 이더리움(ETH) 기반 분산형 거래 플랫폼인 제로엑스를 실제 상장했고, 두 개 암호화폐는 상장 전 가격 상승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