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AI봇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16일 "비트코인 5천선도 무너질까?"…갈라진 비트코인캐시ABC·SV 승자는?

코리 | 기사입력 2018/11/16 [08:20]

[AI봇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16일 "비트코인 5천선도 무너질까?"…갈라진 비트코인캐시ABC·SV 승자는?

코리 | 입력 : 2018/11/16 [08:20]

 빗썸 암호화폐(가상통화) 거래소 11월 16일 오전 8시 10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177,000원 (2.66%) 하락한 6,473,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해외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2.21% 하락한 5,57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약 69억달러 수준이다.)    

 

비트코인캐시는 54,000원 (10.67%) 하락한 452,00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골드는 1.19% 상승한 30,580원을 기록하고 있다. 

 

빗썸 거래소 기준 가상화폐 시장의 가격 상승폭을 보면 스팀 (11.42%) 스트라티스 (6.58%) 아이앤에스 (4.76%)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 (4.51%) 기프토 (4.24%) 비체인 (2.99%) 체인링크 (2.91%) 루프링 (2.61%) 비에이치피캐시 (2.59%) 왁스 (2.24%) 비트코인 골드 (1.19%) 웨이브 (1.18%) 리플 (1.1%) 레이든네트워크토큰 (0.88%) 모나코 (0.84%) 엔진코인 (0.43%) 순으로 높았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오미세고 (633,786,284,250원) 비트코인 골드 (543,619,812,318원) 제트캐시 (461,606,112,659원) 모네로 (250,801,771,625원) 리플 (65,606,036,083원) 비트코인 (31,951,861,481원) 비트코인 캐시 (31,354,137,725원) 대시 (21,478,476,181원) 트론 (18,996,981,298원) 이더리움 (15,852,702,817원) 이오스 (11,106,152,251원) 미스릴 (2,923,138,642원) 퀀텀 (1,839,573,073원) 질리카 (1,683,861,950원)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세계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TC)은 진행 중인 비트코인캐시(BCH) 하드포크 영향으로 전날 5,500달러선(코인마켓캡 기준)까지 추락했다. 이날 현재도 5,600달러 근처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12월물은 전날 대비 60 달러(1.12%) 오른 5,425 달러에 마감했다. 비트코인 거래량은 70억 달러 수준으로 매도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CCN은 "많은 애널리스트들은 비트코인 하락세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암호화폐는 아직 바닥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일례로 투자분석업체인 오안다 코프(Oanda Corp) 아시아 거래 책임자인 스테펀 인스(Stephen Innes)는 비트코인캐시 하드포크가 암호화폐 시장을 예상보다 오래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비트코인 가격은 심리적 지지선인 5,000달러가 무너지면 2,500달러까지 추락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고 전했다.

 

코인텔레그래프도 "전날 비트코인은 추세선 하단의 하락으로 매도세가 급상승하고 가격이 연중 최저치로 급락하면서 무너졌다"며 "약세장이 5,900달러 이하로 가격을 유지한다면 다음 하락은 5,450달러 이하가 될 것이고, 나아가 5,000달러 밑까지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지난 6월 모하메드 엘에리안(Mohamed El-Erian) 알리안츠(Allianz) 수석 경제 고문은 미국 경제매체인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궁극적으로 가치 창고로 취급 될 것"이라면서도 "비트코인 가격은 5,000달러선이 합리적이며, 5,000달러대로 떨어지면 저가 매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암호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 가격이 전날 급락장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대부분의 주요 암호화폐와 토큰들도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전날에 비해 낙폭은 크지 않은 편이다. 특히 비트코인캐시는 이날도 4% 가량 떨어지며 420달러선까지 밀렸다. 이날 CCN에 따르면 비트코인캐시는 하드포크를 가동시켜 주요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인 비트코인캐시 ABC(BCHABC)와 비트코인캐시 SV(BCHSV)로 쪼개졌다. 현재 BCHABC는 16% 상승한 299.25달러, BCHSV는 44% 하락한 97.53달러를 기록하며 3배 이상 비트코인캐시ABC가 높다. 주요 상위 암호화폐 중 소픅이나마 상승 반전한 코인은 시총 2위 리플(XRP), 시총 7위 라이트코인(LTC), 시총 8위이며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 등이다. 다만 상승폭은 모두 1% 미만이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