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봇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25일 "비트코인 4천$, 암호화폐 시총 1300억$ 붕괴…비트코인캐시SV 급등빗썸 암호화폐(가상통화) 거래소 11월 25일 오전 8시 20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463,000원 (9.21%) 하락한 4,56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해외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10.11% 하락한 3,90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약 45억달러 수준이다.) 비트코인캐시는 15,900원 (6.05%) 하락한 247,00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골드는 1.34% 하락한 22,100원을 기록하고 있다.
빗썸 기준 가상화폐 시장의 가격 상승폭을 보면 사이버마일스 (0.93%) 비트코인다이아몬드 (-0.16%) 원루트네트워크 (-0.35%) 파워렛저 (-1.18%) 비트코인 골드 (-1.34%) 비체인 (-2.51%) 레이든네트워크토큰 (-3%) 대시 (-4.02%) 뉴이코노미무브먼트 (-4.63%) 골렘 (-5%) 트루체인 (-5.33%) 에이다 (-5.36%) 에이치쉐어 (-5.47%) 비트코인 캐시 (-6.05%) 이더리움 (-6.05%) 에토스 (-6.09%) 스팀 (-6.4%) 리플 (-6.58%) 퀀텀 (-6.85%) 순으로 높았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오미세고 (678,426,603,834원) 대시 (378,833,491,096원) 비트코인 골드 (231,699,833,027원) 모네로 (101,380,894,708원) 리플 (29,701,071,794원) 비트코인 (19,425,092,850원) 비트코인 캐시 (8,079,078,656원) 이더리움 (7,779,124,488원) 이오스 (5,165,759,490원) 비트코인다이아몬드 (4,583,772,308원) 트론 (2,584,533,958원) 미스릴 (1,740,099,829원) 어거 (1,709,299,809원) 제트캐시 (1,190,925,508원)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이날 세계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TC)은 4,000달러가 붕괴되며 다시 연중 최저치를 경신했다.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3,900달러선까지 주저앉았다. 대장주인 비트코인의 급락장에 리플(XRP), 이더리움(ETH), 비트코인캐시(BCH)와 같은 주요 암호화폐와 토큰들도 폭락장을 연출하고 있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도 1,400억 달러가 붕괴되며 1,270억 달러 수준까지 급감했다. 다만 비트코인캐시SV(BCHSV)는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BCHSV는 장중 한때 현재 28% 가량 크게 급등했지만 비트코인 급락장에 현재는 7% 남짓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문회사 크립토골드센트럴(CryptoGoldCentral)을 운영중인 앤디 호프만(Andy Hoffman)은 "지난주 호프만 라인(Hoffman Line) 파산 후, 자신이 보유한 대부분의 비트코인(BTC)를 처분했다"면서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에서 버틸 인내력이 더이상 없다. 이 선택이 현명한 선택이 될지, 실수가 될지 모르지만 후회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비트코인 시장 전망과 관련, 전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CCN에 따르면 제네시스 트레이딩(Genesis Trading) CEO인 마이클 모로(Michael Moro)는 미국 CNBC에 출연, “비트코인이 추가로 30% 더 하락할 수 있으며 3000달러까지 내려가야만 바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점쳤다. 모건 크릭 디지털 에셋(Morgan Creek Digital Assets)의 창업자 안토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도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장기 추세이나, 우리는 현재 약세장을 지나고 있다. 많은 기술 분석 지표는 암호화폐가 여전히 하락할 여지가 존재하며 비트코인이 3,000-3,500 달러선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이같은 '비트코인 3,000달러' 바닥론에 암호화폐 전문매체 CCN은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소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 거래소 그룹인 인터컨티넨털익스체인지(ICE)가 설립한 백트(Bakkt)와 같은 몇 가지 잠재적 촉매로 인해 내년 1분기 안에 가격 상승을 촉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