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AI봇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18일 "비트코인 기술적 추세 '긍정적'…리플↑, 비트코인캐시↓"

코리 | 기사입력 2019/04/18 [07:55]

[AI봇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18일 "비트코인 기술적 추세 '긍정적'…리플↑, 비트코인캐시↓"

코리 | 입력 : 2019/04/18 [07:55]

 

빗썸 암호화폐(가상통화) 거래소 4월 18일 오전 7시 50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27,000원 (0.45%) 하락한 5,99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해외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BTC)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0.25% 상승한 5,24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124억 달러이며, 시가총액은 약 926억 달러이다.)    

 

비트코인캐시는 13,300원 (3.62%) 하락한 354,20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골드는 2.73% 하락한 21,360원을 기록하고 있다. 

 

가격 상승폭을 보면 오디세이 (125.26%) 버지 (43.84%) 사이버마일스 (36.89%) 이오스트 (25%) 이더제로 (21.34%) 미스릴 (13.41%) 루프링 (12.39%) 파퓰러스 (11.86%) 폴리매스 (11.68%) 체인링크 (9.83%) 아이오티체인 (9.59%) 코르텍스 (9.23%) 베이직어텐션토큰 (8.11%) 아피스 (6.74%) 프리마스 (6.25%) 에토스 (6.21%) 왁스 (6.09%) 더마이다스터치골드 (6.09%) 솔트 (5.82%) 하이퍼캐시 (5.27%) 엔진코인 (5.17%) 룸네트워크 (4.76%)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 (4.67%) 순으로 높았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대시 (513,374,348,606원) 모네로 (219,462,215,214원) 오디세이 (24,421,767,450원) 비트코인 (18,525,191,822원) 리플 (18,075,659,843원) 버지 (17,124,350,671원) 비트코인 캐시 (14,829,952,809원) 이더리움 (11,479,838,065원) 엔진코인 (9,749,147,794원) 이오스트 (8,194,231,990원) 이오스 (8,150,101,402원) 사이버마일스 (8,028,718,093원) 베이직어텐션토큰 (4,803,188,604원) 미스릴 (3,649,610,426원)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 (3,575,172,735원) 룸네트워크 (3,010,847,268원)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세계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TC)이 미국 달러화 대비 5,200달러를 상회하면서 긍정적으로 추세가 변하는 분위기다. 실제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4월 들어 지금까지 27% 올랐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비트코인은 이번 달 4년 연속 월간 기준 상승 기록을 쌓게 된다. 

 

한편 암호화폐 전문매체 뉴스BTC는 "전날(16일) 비트코인 가격은 4,940달러의 지지 영역을 재방문했지만 이 가격대에서 이중 바닥 패턴(double-bottom pattern) 즉,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을 보여주는 긍정적 신호를 발견했다"며 "이후 5,100달러의 저항선과 100시간 단순이동평균선을 돌파해 탄탄한 상향 이동을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더 중요한 것은, 주요 약세 추세선인 5,110달러를 돌파했다는 점이다"며 "이에 따라 비트코인은 다시 양호한 상승세로 돌아섰고 5,400달러의 핵심 저항 지역을 향해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암호화폐 맥시멀리스트이며 저명한 트레이더인 크립토 티스(Crypto Thies)도 전날 트위터를 통해 "2주 이동평균 수렴·확산지수(MACD)가 녹색으로 변화됐다. 2주 MACD가 이런 모습을 보인 것은 2015년 5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비트코인은 240달러선에서 거래됐고 시장은 대규모 하락장으로부터 회복 조짐을 나타내고 있었다"면서, 역사적으로 암호화폐시장의 저점과 고점을 정확하게 지목해온 자신의 마켓 갓(Market God) 지표가 2015년(이전 약세장 저점 부근) 이후 처음으로 최근 ‘매수’ 신호를 발동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30일 지수이동평균(EMA)과 90일 EMA가 올해 1월 이후 처음 교차된 것도 약세론자들의 주도권 상실을 강조해주는 또 다른 강세 신호라고 덧붙였다. 티스는 현재의 상승 추세와 전반적 회복세가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올해 말 비트코인 목표가를 '약 8.000달러'로 제시했다.

 

이날 알트코인 시장은 대체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시총 3위 리플(XRP)이 3% 이상 상승하며 '톱10' 알트코인 중 유일하게 강세를 보이고 있다. 리플(Ripple)의 애쉬쉬 빌라(Asheesh Birla) 수석 부사장(SVP)은 최근 유튜브를 통해  “해외 결제 솔루션 엑스래피드(xRapid)를 대대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리플넷(RippleNet) 결제 비즈니스는 빅 게임체인저(Big 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주장해 커뮤니티에 관심을 모았다. 현재 리플은 ‘엑스래피드’와 ‘엑스커런트(xCurrent)’ 두 개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두 솔루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리플코인(XRP)의 사용 여부다. 엑스래피드는 엑스커런트와 달리 법정화폐 대신 XRP를 정산 매개체로 활용해 해외 송금 서비스를 지원한다. (※관련 기사: 리플 SVP "엑스래피드(xRapid) 대대적 확장…빅 게임체인저 될 것")

 

리플의 강세와는 반대로 비트코인 캐시(BCH, 시총 4위)는 3% 가량 약세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 캐시는 비트코인SV(사토시 비전, 시총 14위)의 주요 거래소 상장 폐지 소식에 따른 반사이익을 누려왔다. 지난해 11월 비트코인캐시(BCH)의 하드포크로 비트코인ABC와 비트코인SV가 각각 탄생해 지금껏 해시 전쟁을 벌이고 있다. (※관련 기사: 비트코인 캐시 전쟁, 여전히 진행 중…"커뮤니티 내 논쟁 격화")

 

상위권 암호화폐 중에는 테조스(XTZ, 시총 16위)가 8% 이상 급등세를 보이며 좋은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CCN은 테조스의 급등세에 대해 "최근 프랑스의 브루노 르메르(Bruno Le Maire) 재무장관이 파리 블록체인 주간 서밋(Paris Blockchain Week Summit) 행사에서 테조스의 블록체인이 다른 동종업체들보다 우월하다고 발언한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약 1,774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