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봇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26일 "비트코인 5,200달러 붕괴·알트코인 급락"…반등이냐 추가 하락이냐
빗썸 암호화폐(가상통화) 거래소 4월 26일 오전 9시 30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385,000원 (5.98%) 하락한 6,052,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해외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BTC)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5.31% 하락한 5,18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154억 달러이며, 시가총액은 약 916억 달러이다.)
비트코인캐시는 21,400원 (6.49%) 하락한 308,30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골드는 6.59% 하락한 18,000원을 기록하고 있다.
가격 상승폭을 보면 디에이씨씨 (0%) 롬 (0%) 비에이치피캐시 (0%) 에이치쉐어 (0%) 오디세이 (-0.5%) 아모코인 (-1.22%) 버지 (-3.05%) 베잔트 (-3.65%) 비체인 (-4.03%) 아크블록 (-4.32%) 리플 (-4.4%) 원루트네트워크 (-4.44%) 트론 (-4.69%) 라이트코인 (-5.33%) 이더리움 클래식 (-5.42%) 비트코인에스브이 (-5.97%) 비트코인 (-5.98%) 비트코인 캐시 (-6.49%) 비트코인 골드 (-6.59%) 코르텍스 (-7.05%) 플레이코인 (-7.07%) 이오스 (-7.08%) 베이직어텐션토큰 (-7.6%) 스텔라루멘 (-7.94%) 어거 (-7.99%) 더마이다스터치골드 (-8.12%) 순으로 높았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모네로 (312,266,755,052원) 대시 (279,252,230,441원) 비트코인 (27,939,055,642원) 이더리움 (12,560,334,253원) 리플 (11,928,426,251원) 이오스 (11,289,151,914원) 비트코인 캐시 (10,295,086,582원) 트론 (4,337,067,297원) 엔진코인 (3,574,763,690원) 버지 (3,224,721,395원) 라이트코인 (2,385,531,406원) 비트코인에스브이 (1,543,390,441원) 아이콘 (1,206,336,331원) 오디세이 (947,417,974원) 베이직어텐션토큰 (905,939,419원) 미스릴 (817,593,627원) 이더리움 클래식 (813,158,489원)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한편 지난 몇 시간 동안 암호화폐 대장 비트코인(BTC)은 전날 대비 5% 넘게 급락하며 5,200달러 선이 붕괴됐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현재 비트코인의 기술적 신호들이 역사적 약세 패턴을 나타내고 있음을 감안할 때 비트코인은 단기적으로 5,000달러 아래로 후퇴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해당 매체는 "비트코인이 하락하더라도 현재 4,969달러에 자리잡고 있는, 기술적으로 중요한 30일 이동평균선에서 강력하게 반등할 경우 최근 고점 5,627달러를 넘어서는 신고점으로의 랠리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암호화폐 미디어 뉴스BTC는 "현재의 비트코인 조정장이 완료되면, 가까운 시일 내에 가격이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만약 5,340달러 지지선 아래로 하락할 경우, 비트코인 가격은 5,000달러대의 약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뉴스BTC는 인기 있는 암호화폐 분석가인 UB의 말을 인용 "비트코인이 5,300달러 지역에서 강한 매수 반응이 나온다면 비트코인이 또 다른 상승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뉴스BTC는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더디기 때문에 많은 분석가들이 비트코인이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에 대해 논쟁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트위터 상의 유명 암호화폐 기술 분석가인 조시 레이저(Josh Rager)는 비트코인이 되돌림(retracement) 이전에 6,400달러까지 오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알트코인 시장은 비트코인 급락장에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총 '톱10' 코인도 모두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더리움(ETH, 시총 2위)과 카르다노 에이다(ADA, 시총 10위)는 7~8% 가량 급락하며 다른 코인에 비해 낙폭이 큰 편이다. 상위권 암호화폐 중에는 모네로(XMR, 시총 12위), 테조스(XTZ, 시총 16위), 메이커(MKR, 시총 20위), 온톨로지(ONT, 시총 21위) 등이 '두 자리 수'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크립토닷컴 체인(CRO, 시총 24위)과 스테이블코인인 USD코인(USDC, 시총 27위)는 상위 암호화폐 중 유일하게 1~2% 가량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날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전날 보다 100억 달러 가량 급감한 약 1,672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