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7일 "비트코인 7,580달러 저항선 돌파, 향후 전망은 엇갈려"…알트코인 혼조
업비트 암호화폐(가상화폐) 거래소 12월 7일(한국시간) 오전 8시 35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75,000원 (0.86%) 상승한 8,787,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해외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Bitcoin, BTC)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1.04% 상승한 약 7,519달러를 기록 중이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180억 달러이며, 시가총액은 약 1,360억 달러이다. 전체 암호화폐에서 차지하는 비트코인 시가총액 점유율은 67.0% 수준이다). 이더리움은 100원 (0.06%) 상승한 173,65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캐시는 0.14% 하락한 248,200원을 기록하고 있다.
가격 상승폭을 보면 엔진코인(KRW-ENJ, +13.05%) 카이버네트워크(KRW-KNC, +6.56%) 질리카(KRW-ZIL, +6.33%) 트웰브쉽스(KRW-TSHP, +4.44%) 오에스티(KRW-OST, +3.2%) 메탈(KRW-MTL, +3.18%) 메인프레임(KRW-MFT, +2.96%) 무비블록(KRW-MBL, +2.89%) 크립토닷컴(KRW-MCO, +2.82%) 비트토렌트(KRW-BTT, +2.78%) 디마켓(KRW-DMT, +2.62%) 디크레드(KRW-DCR, +2.57%) 아이콘(KRW-ICX, +2.56%) 코스모스(KRW-ATOM, +2.55%) 비트코인골드(KRW-BTG, +2.42%) 아이오에스티(KRW-IOST, +2.42%) 헤데라해시그래프(KRW-HBAR, +2.4%) 스팀달러(KRW-SBD, +2.39%) 솔브케어(KRW-SOLVE, +2.33%) 베이직어텐션토큰(KRW-BAT, +2.21%) 제로엑스(KRW-ZRX, +1.74%) 이더리움클래식(KRW-ETC, +1.68%) 순으로 높았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비트코인(KRW-BTC, 26,728,338,077원) 리플(KRW-XRP, 9,970,483,153원) 디마켓(KRW-DMT, 5,880,372,206원) 엔진코인(KRW-ENJ, 3,828,955,762원) 이더리움(KRW-ETH, 3,280,331,990원) 이그니스(KRW-IGNIS, 2,933,282,632원) 이오스(KRW-EOS, 2,609,487,435원) 비트코인캐시(KRW-BCH, 2,321,878,445원) 트웰브쉽스(KRW-TSHP, 1,255,521,599원) 트론(KRW-TRX, 1,203,395,404원) 비트코인에스브이(KRW-BSV, 917,500,010원) 솔브케어(KRW-SOLVE, 833,621,488원) 에브리피디아(KRW-IQ, 725,006,670원) 에이다(KRW-ADA, 681,120,605원) 모스코인(KRW-MOC, 667,604,306원) 애드토큰(KRW-ADT, 652,889,900원) 센티넬프로토콜(KRW-UPP, 603,533,203원) 디센트럴랜드(KRW-MANA, 602,322,764원) 순으로 높았다.
지난 24시간 동안 세계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 BTC)은 7,500달러 저항선을 회복했다. 비트코인은 지난 한주 7,000달러 중반대 가격에서 대체로 통합(가격 다지기)를 지속했다. 이에 비트코인이 현재 수준에서 당분간 박스권 횡보 장세를 이어갈 것인지, 아니면 다시 변동성이 확대되며 급등락 움직임을 보일 것인지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한 전문가이자 대표적인 금 투자 옹호론자로 유명한 피터 시프(Peter Schiff) 유로퍼시픽캐피탈(Euro Pacific Capital) 최고경영자(CEO)는 트위터를 통해 "최근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은 비트코인이 새로운 매수자를 끌어들이지 못하고 게임은 끝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반면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loomberg Intelligence) 애널리스트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은 "6,500달러의 핵심 지지선이 가까운 미래에 유지되는 한 비트코인 가격 추세가 빠르게 강세(bull case)로 전환될 것"이라면서 "이 경우 비트코인이 10,000달러라는 핵심 저항선을 깨는 것은 '시간 문제일 뿐'이다"고 주장했다.
특히 실리콘밸리 유명 벤처 투자자이자 대표적인 비트코인(Bitcoin, BTC) 강세론자인 팀 드레이퍼(Tim Draper)는 최근 한 인터뷰를 통해 "2019년 12월 31일 8,500달러 전망보다 2022년 또는 2023년 1분기 25만 달러 전망을 더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해당 분석은 비트코인의 스톡투플로우(stock-to-flow, S2F) 모델에 기반하지 않으며, 또 반감기(블록 보상 감소)를 고려하지 않은 전망이다"며 "그 대신에 비트코인은 대체 통화(alternative currency)로서 글로벌 통화 시장 내 5%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며, 이 경우 비트코인에 합당한 가치는 25만 달러"라고 설명했다.
한편 비트코인 ATM 전문 통계 사이트 코인ATM레이더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암호화폐 ATM 수는 총 6,161대로 올 연초 대비 약 50% 증가했다. ATM 수 기준, 미국이 4,264대로 1위를 기록했다. 캐나다(739대), 영국(295대)이 그 뒤를 이었다. 대륙별 순위에선 북미에 4,749대(77.2%)로 가장 많은 암호화폐 ATM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럽(1,179대, 19.1%), 아시아(124대, 2%)가 그 뒤를 이었다.
이날 주요 알트코인 시장은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이며 '톱' 알트코인인 이더리움(Ethereum, ETH) 가격은 0.10% 하락, 약 149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BTC는 "ETH 가격은 150달러와 152달러 저항선 이상 상승하거나, 반대로 140달러와 135달러 수준으로 새로운 하락을 시작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시가총액 3위 암호화폐인 리플(Ripple, XRP)은 0.73% 오른 0.224980달러 선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뉴스BTC는 "차트를 보면, 리플 가격은 0.2180달러의 지지선을 상회하는 몇 가지 긍정적인 징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0.2265달러의 저항선을 뛰어넘기 위한 또 다른 시도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상승 시도가 무산된다면, 다시 0.2100달러의 지지선 지역으로 급강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2,000억 달러를 다시 회복, 현재 약 2,032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