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다크넷(darknet) 불법 거래에 사용된 암호화폐가 17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이널리스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다크넷 불법 거래에 사용된 암호화폐는 17억 달러를 기록했다.
다크넷은 폐쇄형 사설 분산 P2P 네트워크로 IP 주소의 익명성을 보장한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속되지 않고 접속자나 서버를 알 수 없다는 점에서 마약, 가짜 신분증 등을 사고파는 사이버 범죄에 이용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암호화폐를 사용한 불법 거래를 주도한 국가는 러시아, 미국, 우크라이나, 중국 등이다. P2P 마켓과 중앙화 거래소가 주요 거래 채널로 활용됐다.
믹싱 서비스의 증가로 인해 중앙화 거래소를 통한 자금 세탁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다크넷에서 암호화폐 거래가 활발했던 상위 10개 국가는 러시아, 미국, 우크라이나, 중국, 영국, 베네수엘라, 베트남, 터키, 인도, 독일이었다. 해당 국가들은 작년 한 해 총 5억 3,800만 달러를 다크넷에 보냈고, 4억 300만 달러를 받았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일반적으로 마약은 중남미와 아시아에서 재배 및 제조되어 북미와 북유럽, 서유럽에서 소비된다. 다크넷 벤더와 관리자들은 중국과 동유럽 기반의 OTC 브로커를 통해 암호화폐 자금 세탁을 진행한다. 이같은 흐름을 블록체인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