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비트코인닷컴뉴스에 따르면, 전 미국 대통령 후보이자 기업가인 비벡 라마스와미는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재무 전략의 핵심 자산으로 채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저금리 시대가 끝난 만큼 기업과 투자자들이 새로운 리스크 평가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마스와미는 "이제 '쉬운 돈'의 시대는 끝났다"며 "기업, 투자자, 심지어 국가 기관조차도 내부 자본 투자 기준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환경에서 비트코인이 보다 일반적인 기업 재무 자산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동안 기준 금리를 유지하면서, 많은 기업이 비트코인을 준비 자산으로 고려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스트래티지(현 Strategy)의 장기적인 BTC 보유 전략이 성공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 및 긴축 경제 속에서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 프레스턴 피시는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보유할 수 있는 비트코인의 양이 이제 새로운 주당순이익(EPS) 지표가 될 것"이라며 라마스와미의 의견에 동의했다. 또한, 한 투자자는 "비트코인은 모든 배를 띄우는 밀물과 같다. 기업들은 이제 가라앉거나 살아남는 갈림길에 섰다"고 비유하며, 비트코인을 재무 전략의 필수 요소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업들의 투자 기준 변화는 단순한 재무 조정이 아니라 생존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저금리 시대가 끝난 지금, 기존의 채권이나 법정화폐 자산을 보유하는 것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으며, 희소성을 갖춘 비트코인이 대안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